FGA(영국보석감정사)
FGA 프로그램은 파운데이션 코스(Foundation Course), 보석학 디플로마 코스(Gemmology Diploma Course), 다이아몬드 디플로마 코스(Diamond Diploma Course)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각 코스의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FGA 프로그램은 파운데이션 코스(Foundation Course), 보석학 디플로마 코스(Gemmology Diploma Course), 다이아몬드 디플로마 코스(Diamond Diploma Course)로 구분되어 있습니다. 각 코스의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– 빛의 본질 : 전자기 스펙트럼.
– 측정 단위 : 메트릭 캐럿(ct), 미터(m), 리터(l), 펄그레인, 나노미터(nm), 웅스트롬(A), 온도(C와 K), 절대영도, 캘빈스케일.
– 보석의 본질 : 광물의 생성(기초), 보석의 조건(아름다움, 희귀성, 내구성, 수용성).
– 결정학 기초 : 결정의 본질, 결정질과 비정질의 차이, 다결정질(은미정질 및 현미경질 포함).
– 결정의 대칭 : 대칭축, 대칭면, 대칭심, 쌍정, 평행연정, 결정형, 정벽의 7징계.
– 보석의 물리적 성질(광학적 성질 포함).
경도 | – 정의, 모스경도와 기준 광물의 선정 – 보석학에서의 적용과 사용상의 제약사항 |
---|---|
벽개 | – 정의와 설명 – 보석학에서의 중요성 : 다이아몬드 가공 및 유색보석의 연마 관련 |
비중(상대밀도) | – 정의 – 측정방법 : 정수법 – 중액을 이용한 대략적 측정방법 : 브로모톰, 옥화메틸렌, 모노브로모 나프탈린 |
광학적 성질 | – 반사의 법칙 – 보석학에서의 중요성 : 광택, 윤(sheen), 묘안효과(샤토이얀시), 성채효과 – 굴절의 법칙 : 굴절률 – 내부전반사 : 굴절계의 작용원리 → 굴절률의 측정 – 복굴절률과 그 측정방법 – 액체에 보석을 침적하는 방법 : 보석과 액체에 대한 빛의 경로 – 단굴절 및 복굴절 보석 : 이상복 굴절 – 광 축 |
편광 | – 본질과 편광의 발생 |
빛과 색 | – 빛의 흡수 : 보석의 흡수 스펙트럼 – 알만딘가넷, 코발트착색의 청색유리, 에메랄드, 페리도, 루비, 청색사파이어, 지르콘 – 자색성, 타색성 : 빛의 선택적 흡수, 다색성 – 간섭 : 분산도 – 첼시칼라필터의 사용 : 교차칼라필터(Crossed Colour Filter) |
– 전자저울(천평)의 이용
– 루페(10배율)의 구조와 사용법
– 현미경의 구조와 확대 관찰 이외의 추가적인 용도
– 분광기의 구조와 사용법
– 굴절계의 구조와 사용법
– 편광기의 구조와 사용법
– 이색경의 구조와 사용법
– 브릴리언트(다이아몬드의 이상적 프로모션 포함)
– 캐보션 → 혼합형(mixed)
– 로즈커트 → 시저스형
– 스텝형(에메랄드 커트) → 기타 연마형태
(가) 천연보석 | 다음 보석에 대한 산출형태와 원산지, 색, 화학조성, 결정계 및 정벽, 벽개, 경도, 비중, 굴절률 및 복굴절률, 다색성 및 광택 |
---|---|
(나) 유기질 보석 | 다음 보석의 생성, 본질, 성질에 대한 기초지식 및 감별방법 – 천연 및 양식 진주 : 생성과 구조 – 호박 – 산호 – 제트(Jet) |
(다) 합성보석 및 모조(유사)품 | – 합성 커런덤 및 스피넬 : 베르누이 합성방법 – 기타 합성법의 개요 : 플럭스법, 수열법, 쵸크랄스키(결정인상)법, 스컬법 – 접합석 및 유리모조품의 감별 – 플라스틱 및 유기질 보석 모조품에 대한 감별방법 – 합성석(커런덤, 에메랄드 및 스페넬 등)에 대한 감별방법 |
– 결정학 및 보석물질의 구조
– 메타믹트
– 유질동상 및 유질동상 치환(동형교대)
– 보석의 물리적 성질(광학적 성질 포함) : 고급편
– 결정의 광학적 성질
– 굴절률, 복굴절률 및 광학부호 : 굴절기계로 측정방법
– 전자기 스펙트럼 : 광원
– 보석의 색 : 발색원인과 색처리 방법
– 광학적 분광학
– 분산도의 측정
– 발광 및 전기적 성질
– 보석감정에 있어서 X-선, 자외선 및 적외선의 적용
– 천연, 합성, 모조보석에 있어서 내포물 및 내부특성
– 중액을 이용한 정확한 비중측정법
– 보석감정연구소에서 이용되는 실험실기법에 대한 기초지식
– 감정기구 사용법 : 고급편
– 현미경의 원리와 사용법
– 자외선기 원리와 사용법
– 열전도 및 반사도 측정기
– 전기전도성 검사
– 테이블 스펙트로미터
– 보석 감별(천연보석, 합성보석, 처리석, 유기질 보석의 연마석, 원석, 나석 및 제품에 세팅된 보석)
– 굴절율 및 복굴절율의 측정
– 보석의 광학적 스펙트럼에 의한 감별
– 비중측정 : 정수법 및 중액의 사용
– 자외선 반응
– 편광반응(다색성 포함)
– 등방성, 일축성 및 이축성의 검사 및 광학부호 판별
– 현미경을 통한 내포물, 표면 특징의 관찰에 의한 감별
(가) 천연보석 | 산출형태 및 원산지, 지질학적 배경과 채굴방법의 개요, 가장 중요한 특징 및 감별방법, 보석의 흡수 스펙트럼 및 분산도 |
---|---|
(나) 유기질 보석 및 일반적인 모조품 | 다음 보석의 산출형태, 생산방법 및 감별방법 – 진주 : 천연 및 양식(유핵 또는 무핵) – 호박 – 산호 – 구갑 – 코팔 – 제트(흑옥) – 상아 – 암모나이트 |
(다) 모조품, 합성석, 접합석, 유리, 플라스틱, 다이아몬드 유사품의 특징 | – 해당 제조방법에 따른 식별방법 – 감별법 : 합성 알렉산드라이트, 코런덤, 다이아몬드, 에메랄드, 오팔, 수정, 합성루틸, 스피넬, 스트론튬티타네이트, 터키석, YAG, GGG, 큐빅지르코니아, 모모진주, 다이아몬드 모조품, 비취 모조품 |
코리아보석학원 전국 체인은 우리나라 보석 및 주얼리 교육의 리더입니다.
1989년 | 영국보석학협회와 교육센터 계약 체결 및 FGA코리아 설립 보석감정사 국제자격과정인 영국보석감정사(FGA)과정 교육개시 |
---|---|
1990년 | 보석학 전문교재인 정해보석학전집 7권 발행 (다이아몬드 상/하, 보석감별론 상/하, 보석학 상/하, 귀금속 및 보석가공) |
1991년 | 미국 Master Valuer Program 창립 및 MV교육 개시(Anna Miller) |
1992년 | 대구 MV-FGA 코리아보석학원 설립(당시 명칭 : 한국보석감정학원) |
1996년 | MV코리아 설립 및 아시아권 최초로 주얼리평가과정(MV) 교육 개시 주얼리 경영 마케팅, 주얼리 코디네이팅 등 창업실무 교육 실시 |
1997년 | MV자격 취득자 위주의 동문협회인 한국주얼리평가협회 창립 업계 최초로 주얼리 연구조사 저널인 MV 리포트 발간 개시 업계 최초로 주얼리 디스플레이 교육 실시 |
2000년 | 명품시계 감정 및 평가과정 전문교육 실시 |
2004년 | 업계 최초로 주얼리 국제 비즈니스 교육 실시 김상기 이사장, MV International 공동 이사장 취임 |
2005년 | MVP Color Master & Tone Master 개발 및 저작권 등록 국내 최초로 Heart & Arrow 도입 및 H&A 컷 등급 교육실시 |
2008년 | 강남 코리아보석학원 설립 및 한국보석학원으로부터 계열 분리 |
2010년 | 네이버 카페(주얼리 정보바다)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개시 |
2011년 | 주얼리 딜러 민간자격시험 운영위원회 발족 및 제 1회 시험 실시 |
2014년 | 주얼리 딜러 민간자격 등록(등록번호 제 2014-0374호) 명품가방 감정과정인 럭셔리 코디네이터 과정의 교재 발간 및 저작권 등록 |
2021년 | Master Valuer Book-4 & Book-5 수정 및 10th Edition 발간 |